I2C 온습도센서 SHT30-DIS-B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블로그 글을 적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데 다시 한번 오늘도 힘 냅시다. 오늘은 그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은 센시리온의 온습도센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이젠 이렇게라도 적어놓지 않으면 자꾸 잊어버려서... 어딘가엔 이런식으로라도 기록을 해야해서 글을 씁니다. 또한 새로 들어온 직원들 자료 공유을 위해서라도 이렇게 글을 남겨두는게 더 좋은듯하여... 한동안 업데이트를 안했더니 2009년에 작성한 글을만 돌아다니네요. 미리 말씀드리지만 저희는 센시리온 센서를 판매하지 않습니다. 저도 센시리온의 고객사 중 한명이지요. 스위스 센시리온 센서를 사용하기 2007년부터 사용한 것 같습니다. 카페나 여기저기에 제가 만든 소스코드들이 돌아다니는 걸 보니 제가 오래 쓰긴 썼나봅니다. 초기 제품부터 지금의 제품군까지 많은 발전이 있었는데요. 삼성 갤럭시 휴대폰에 적용된 후로 센시리온 전용프로토콜이 아닌 I2C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면서 더욱 많은 엔지니어들이 사용하게 된 것 같습니다. 예전엔 다소 비싼 가격이었지만, 스위스 본사의 정책이 저가로 가격을 인하하며 릴단위 구매 유도를 통한 물량공세쪽으로 돌아선것 같습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전엔 500개, 3000개 릴으로 판매되었지만, SHT3X 시리즈는 2,500개, 10,000개 단위로 릴이 구성되었습니다. 그동안 생산장비의 고도화도 이루어진 것 같고, 패키징이 작아지면서 단위면적당 생산수량도 늘어났을테고, 장비들 감가도 많은 시간이 지나서 더욱 경쟁력이 생긴 탓이겠지요. 자동차쪽 공급물량이 늘어나서 가격적인 측면으로 어느정도 부담없는 선에 들어선 것 같습니다. 양산제품을 개발하는 엔지니어 입장에선 가격이 곧 사용여부와 직결되니까요. Readout of Measurement Results for Single Shot Mode Measurement Commands for Periodic Data A...